위치확인
위치확인
.
[강의] 위기의 정치, 정치의 위기 — 어떻게 민주주의는 독재가 되는가
📑 개요
소개 | 우리는 지금 민주주의가 스스로를 파괴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선거로 집권한 지도자가 독재자가 되고, 자유를 외치던 정치세력이 권위주의로 돌변하며, 경제적 자유화가 정치적 억압을 불러오는 역설적 현실을 목격하고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이 강의는 마르크스가 분석한 루이 보나파르트의 친위 쿠데타부터 그람시의 수동혁명과 카이사리즘 분석, 풀란차스의 파시즘과 독재 분석을 거쳐 현대 신자유주의의 권위주의적 전환까지 150년간 반복되어온 민주주의 위기의 패턴을 추적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 틀과 개념적 도구들을 활용해 한국의 12.3 비상계엄 사태를 조명한다. |
일정 | 2025년 7월 4일 ~ 8월 22일 (7주)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 9시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지주형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 영국 랭카스터 대학교에서 밥 제솝의 지도로 석사학위(Globalization and the Nation-State: A Strategic-Relational Approach)와 박사학위(Learning from Crisis: Political Economy, Spatio-Temporality and Crisis Management in South Korea, 1961-2002)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이 있고, 역서로 『국가론: 국가의 형성에서 미래의 추세까지』,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일본 경제 들여다보기』 등이 있다.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한국 대통령 통치사료집 VII 박정희 (4): 유신체제 형성』, 『발전국가: 과거, 현재, 미래』, 『부마항쟁의 진실을 찾아서』,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사회학: 비판적 시선』 등을 공저했다. 주된 연구 관심사는 국가론, 위기관리의 문화정치경제학, 지리적 불균등 발전, 신자유주의 등이다. |
교재 | 세부 일정 참조 |
수강료 | 일반 회원 18만원 | 청년 회원(35세 이하) 12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클릭 |
📅 세부 일정
1주차 (7/04) | 카를 마르크스: 친위 쿠데타와 보나파르티즘 ◼ 주 텍스트 - 카를 마르크스,「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프랑스 혁명사 3부작』, 소나무 ◼ 보조 텍스트 - 밥 제솝,「마르크스, 정치적 대표성과 국가」,『국가권력: 마르크스에서 푸코까지, 국가론과 권력 이론들』, 이매진, 133-158쪽 |
2회차 (7/11) | 안토니오 그람시: 헤게모니의 위기, 수동혁명, 카이사리즘 ◼ 주 텍스트 - 안토니오 그람시,『옥중수고』1·2, 거름 (발췌) ◼ 보조 텍스트 - 스티브 존스,『안토니오 그람시: 비범한 헤게모니』, 앨피, 3장·7장 - 리차드 벨라미·대로우 쉐흐터,『그람시와 민족국가: 그람시의 사상과 이탈리아 정치사의 조명』, 사회문화연구소, 5장 - 샹탈 무페 편,『그람시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녹두, 1장·6장 - 앤 S. 사쑨 편,『그람시와 혁명전략』, 녹두, 3부 국가와 정치전략 - 장문석,「안토니오 그람시와 파시즘의 은유들: 그람시의 파시즘 해석과 그 현재적 함의」, 역사학보 246: 189-230 |
3회차 (7/18) | 위르겐 하버마스: 후기 자본주의의 정당성 위기 ◼ 주 텍스트 - 위르겐 하버마스,『후기 자본주의 정당성 연구』, 청하(발췌) ◼ 보조 텍스트 - 클라우스 오페,「위기관리의 위기: 정치적 위기이론의 요소들」, 『국가이론과 위기분석』, 전예원, 195-222쪽 |
4회차 (7/25) | 니코스 풀란차스: 파시즘과 권위적 국가주의 ◼ 주 텍스트 - 니코스 풀란차스,『정치권력과 사회계급』, 풀빛 (발췌) - 니코스 풀란차스,『국가, 권력, 사회주의』, 백의, 4장 민주주의의 쇠퇴: 권위적 국가주의 - Nicos Poulantzas, Fascism and Dictatorship: The Third International and the Problem of Fascism, Verso ◼ 보조 텍스트 - 밥 제솝,「풀란차스, 국가는 사회적 관계다」,『국가권력: 마르크스에서 푸코까지, 국가론과 권력 이론들』, 이매진, 185-216쪽 - 밥 제솝,「파시즘과 독재」·「군사정권과 반독재 투쟁」·「민주적 사회주의로의 민주적 이행」,『풀란차스를 읽자』, 백의 |
5회차 (8/01) | 밥 제솝: 정치·국가 위기와 대처리즘 ◼ 주 텍스트 - Bob Jessop, “Margaret Thatcher and Thatcherism: Dead but not buried”, British Politics 10(1): 16-30 - Colin Hay, “The Winter of Discontent Thirty Years On”, Political Quarterly 80(4): 545-552 - 밥 제솝,『국가론: 국가의 형성에서 미래의 추세까지』, 여문책, 3장·9장 ◼ 보조 텍스트 - Bob Jessop·Kevin Bonnett·Simon Bromley·Tom Ling, Thatcherism: A Tale of Two Nations, Polity Press - Colin Hay, Restating Social and Political Change, Open University Press, 5-8장 - Colin Hay, “Narrating Crisis: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the ‘Winter of Discontent’”, Sociology 30(2): 253-277 |
6회차 (8/08) | 포스트민주주의, 거버넌스 또는 ‘내전’: 신자유주의를 위한 최상의 정치적 외피? ◼ 주 텍스트 - 콜린 크라우치,『포스트민주주의』, 미지북스 ◼ 보조 텍스트 - 밥 제솝,『국가론: 국가의 형성에서 미래의 추세까지』, 여문책, 7장 - 웬디 브라운,『민주주의 살해하기: 당연한 말들 뒤에 숨은 보수주의자의 은밀한 공격』, 내인생의책, 1장·4장 - 피에르 다르도·크리스티앙 라발·피에르 소베트르·오 게강,『내전, 대중혐오, 법치』, 원더박스, 1장·12장·결론 |
8/15 | 휴 강 |
7회차 (8/22) | 한국의 정치 위기와 12.3 내란 ◼ 주 텍스트 - 지주형,「민주주의의 위기와 권위주의적 퇴행: 신자유주의 불균형 국가체제와 헤게모니의 위기로서의 12.3 내란」(미완성 초고) ◼ 보조 텍스트 - 지주형,「윤석열 정부의 국가 형태와 전략: 전략관계론적 분석」,『동향과 전망』118: 9-69쪽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강의] 위기의 정치, 정치의 위기 — 어떻게 민주주의는 독재가 되는가
📑 개요
소개 | 우리는 지금 민주주의가 스스로를 파괴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선거로 집권한 지도자가 독재자가 되고, 자유를 외치던 정치세력이 권위주의로 돌변하며, 경제적 자유화가 정치적 억압을 불러오는 역설적 현실을 목격하고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이 강의는 마르크스가 분석한 루이 보나파르트의 친위 쿠데타부터 그람시의 수동혁명과 카이사리즘 분석, 풀란차스의 파시즘과 독재 분석을 거쳐 현대 신자유주의의 권위주의적 전환까지 150년간 반복되어온 민주주의 위기의 패턴을 추적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 틀과 개념적 도구들을 활용해 한국의 12.3 비상계엄 사태를 조명한다. |
일정 | 2025년 7월 4일 ~ 8월 22일 (7주)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 9시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지주형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 영국 랭카스터 대학교에서 밥 제솝의 지도로 석사학위(Globalization and the Nation-State: A Strategic-Relational Approach)와 박사학위(Learning from Crisis: Political Economy, Spatio-Temporality and Crisis Management in South Korea, 1961-2002)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이 있고, 역서로 『국가론: 국가의 형성에서 미래의 추세까지』,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일본 경제 들여다보기』 등이 있다.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한국 대통령 통치사료집 VII 박정희 (4): 유신체제 형성』, 『발전국가: 과거, 현재, 미래』, 『부마항쟁의 진실을 찾아서』,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사회학: 비판적 시선』 등을 공저했다. 주된 연구 관심사는 국가론, 위기관리의 문화정치경제학, 지리적 불균등 발전, 신자유주의 등이다. |
교재 | 세부 일정 참조 |
수강료 | 일반 회원 18만원 | 청년 회원(35세 이하) 12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클릭 |
📅 세부 일정
1주차 (7/04) | 카를 마르크스: 친위 쿠데타와 보나파르티즘 ◼ 주 텍스트 - 카를 마르크스,「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프랑스 혁명사 3부작』, 소나무 ◼ 보조 텍스트 - 밥 제솝,「마르크스, 정치적 대표성과 국가」,『국가권력: 마르크스에서 푸코까지, 국가론과 권력 이론들』, 이매진, 133-158쪽 |
2회차 (7/11) | 안토니오 그람시: 헤게모니의 위기, 수동혁명, 카이사리즘 ◼ 주 텍스트 - 안토니오 그람시,『옥중수고』1·2, 거름 (발췌) ◼ 보조 텍스트 - 스티브 존스,『안토니오 그람시: 비범한 헤게모니』, 앨피, 3장·7장 - 리차드 벨라미·대로우 쉐흐터,『그람시와 민족국가: 그람시의 사상과 이탈리아 정치사의 조명』, 사회문화연구소, 5장 - 샹탈 무페 편,『그람시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녹두, 1장·6장 - 앤 S. 사쑨 편,『그람시와 혁명전략』, 녹두, 3부 국가와 정치전략 - 장문석,「안토니오 그람시와 파시즘의 은유들: 그람시의 파시즘 해석과 그 현재적 함의」, 역사학보 246: 189-230 |
3회차 (7/18) | 위르겐 하버마스: 후기 자본주의의 정당성 위기 ◼ 주 텍스트 - 위르겐 하버마스,『후기 자본주의 정당성 연구』, 청하(발췌) ◼ 보조 텍스트 - 클라우스 오페,「위기관리의 위기: 정치적 위기이론의 요소들」, 『국가이론과 위기분석』, 전예원, 195-222쪽 |
4회차 (7/25) | 니코스 풀란차스: 파시즘과 권위적 국가주의 ◼ 주 텍스트 - 니코스 풀란차스,『정치권력과 사회계급』, 풀빛 (발췌) - 니코스 풀란차스,『국가, 권력, 사회주의』, 백의, 4장 민주주의의 쇠퇴: 권위적 국가주의 - Nicos Poulantzas, Fascism and Dictatorship: The Third International and the Problem of Fascism, Verso ◼ 보조 텍스트 - 밥 제솝,「풀란차스, 국가는 사회적 관계다」,『국가권력: 마르크스에서 푸코까지, 국가론과 권력 이론들』, 이매진, 185-216쪽 - 밥 제솝,「파시즘과 독재」·「군사정권과 반독재 투쟁」·「민주적 사회주의로의 민주적 이행」,『풀란차스를 읽자』, 백의 |
5회차 (8/01) | 밥 제솝: 정치·국가 위기와 대처리즘 ◼ 주 텍스트 - Bob Jessop, “Margaret Thatcher and Thatcherism: Dead but not buried”, British Politics 10(1): 16-30 - Colin Hay, “The Winter of Discontent Thirty Years On”, Political Quarterly 80(4): 545-552 - 밥 제솝,『국가론: 국가의 형성에서 미래의 추세까지』, 여문책, 3장·9장 ◼ 보조 텍스트 - Bob Jessop·Kevin Bonnett·Simon Bromley·Tom Ling, Thatcherism: A Tale of Two Nations, Polity Press - Colin Hay, Restating Social and Political Change, Open University Press, 5-8장 - Colin Hay, “Narrating Crisis: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the ‘Winter of Discontent’”, Sociology 30(2): 253-277 |
6회차 (8/08) | 포스트민주주의, 거버넌스 또는 ‘내전’: 신자유주의를 위한 최상의 정치적 외피? ◼ 주 텍스트 - 콜린 크라우치,『포스트민주주의』, 미지북스 ◼ 보조 텍스트 - 밥 제솝,『국가론: 국가의 형성에서 미래의 추세까지』, 여문책, 7장 - 웬디 브라운,『민주주의 살해하기: 당연한 말들 뒤에 숨은 보수주의자의 은밀한 공격』, 내인생의책, 1장·4장 - 피에르 다르도·크리스티앙 라발·피에르 소베트르·오 게강,『내전, 대중혐오, 법치』, 원더박스, 1장·12장·결론 |
8/15 | 휴 강 |
7회차 (8/22) | 한국의 정치 위기와 12.3 내란 ◼ 주 텍스트 - 지주형,「민주주의의 위기와 권위주의적 퇴행: 신자유주의 불균형 국가체제와 헤게모니의 위기로서의 12.3 내란」(미완성 초고) ◼ 보조 텍스트 - 지주형,「윤석열 정부의 국가 형태와 전략: 전략관계론적 분석」,『동향과 전망』118: 9-69쪽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Related Article
상품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