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확인
위치확인
.
[강의] 부르디외 강의록 《일반사회학》 해설 강의 - 사회학의 기초 개념 1. 분류투쟁
※ 결제 완료되면 녹화영상 시청할 수 있는 링크와 강의자료 보내드립니다.
📑 개요
소개 | 이 강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에르 부르디외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 중 처음 5년 동안 행해진 그의 첫 이론적 종합을 이해하는 것이다. 부르디외는 콜레주 드 프랑스 석좌교수로 임용되기 직전 각각 실증적 연구와 이론적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업적이라 평가되는 『구별짓기』(1979), 『실천감각』(1980)를 출간했다. 하지만, 이 두 저서엔 부르디외의 이론적 개념들이 활용되고 있을 뿐 설명되진 않는다. 부르디외는 1981~1986년 시기에 와서야 비로소 그의 연구의 무의식을 이루는 개념들에 대해서 가장 상세히 설명할 기회를 얻는다. 그의 제자인 로익 바캉과 함께 시카고와 파리를 오가며 진행되었던 그의 연구 및 이론에 대한 면밀한 검토 작업(『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은 바로 이 시기 진행되었던 강의를 토대로 구체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강의는 그가 이론의 기원에 관한 새로운 재구성을 정교화하고 확장시킨, 이론의 체계적인 소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 책에서 시도된 기획은 동일한 것이 없으며 기존에 제시된 적 없는 그의 연구에 대한 아마도 최상의 입문서를 의미할 것이다.” 책임편집자의 이와 같은 설명은 강의록 『일반사회학』이 지닌 의미를 간명하고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둘째, 부르디외의 강의록 『일반사회학』의 번역 초고를 토대로 이뤄지는 본 강의는, 강의에 참여하는 분들에게 강의 중 질의/응답 과정을 통해 번역 초고에 대한 유의미한 피드백을 형성하고, 이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공동작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부르디외의 사회이론과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는 학생, 연구자 등에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이론적 도구를 제공하고, 잠재적인 협업 및 공동 연구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
일정 | 2024년 10월 10일 ~ 12월 12일 (9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박진수 학부 과정에서 사회학과 윤리교육을, 석사 및 박사 과정에서 사회학을 공부하였다.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유럽사회학연구소 소속 박사과정을 밟았다. 사회(학)이론, 문화/예술사회학, 문화/예술비평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 및 활동 중이다. |
교재/참고문헌 | ◼ Pierre Bourdieu, Sociologie générale volume 1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81-1983), Éditions de Seuil, 2015 (*번역본 제공) ◼ 피에르 부르디외·로익 바캉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이상길 역, 그린비, 2015) ◼ 피에르 부르디외·로제 샤르티에 『사회학자와 역사학자』(이상길·배세진 역, 킹콩북, 2019) |
수강료 | 일반회원 20만원, 청년회원(35세 이하) 12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
📅 세부 일정
1회차 (10/10) | 왜 이 강의를 하는가: 세계/프랑스 사회학의 계보에서 부르디외의 자리, 부르디외의 연구 경력에서 《일반사회학》 강의의 자리, 강의자는 어떻게 부르디외를 만나게 되었고, 왜 공부하게 되었는가 |
10/17 | 휴 강 |
2회차 (10/24) | ◼ 1982년 4월 28일 강의 - 분류란 무엇인가 | 분류하는 주체의 분류 | 구성된 구분과 실제 구분 |
3회차 (10/31) | ◼ 1982년 5월 5일 강의 - 제정 행위 | 주술적 행위인 모욕 | 개인의 코드화 | 현실을 오려내기 |
4회차 (11/07) | ◼ 1982년 5월 12일 강의 - 객관적 분류와 객관성 | 객관적 지표와 자기 표출 전략 | 객관적 표지의 객관적 정의? | 모든 관점들의 실측도 |
5회차 (11/14) | ◼ 1982년 5월 19일 강의 - 정의 원칙의 합법적 정의 | 제헌 행위로서 연구 활동 | 투쟁 내기물로서 분류 | 객관주의와 객관주의의 객관화 | 훌륭한 분류와 스콜라적 편향 | 이론적 분류와 실천적 분류 |
6회차 (11/21) | ◼ 1982년 5월 26일 강의 - 양자택일을 넘어서기 | 실재와 실재의 재현(표상) | 사회적인 것의 자율성과 각성(이해)의 문제 | 법, 이론 효과의 특수한 사례 | 공통감각으로서의 낱말(단어)들 |
7회차 (11/28) | ◼ 1982년 6월 2일 강의 - 성찰행위 | 분류에 대한 상징투쟁 | 상징자본 | 집단 간 경계의 조작 | 자신의 자본을 옹호하기 |
8회차 (12/05) | ◼ 1982년 6월 9일 강의 - 상징자본의 축적 | 객관화 형식으로서 이름과 타이틀 | 공식화 | 상징자본의 제도화 | 공인된 상상계 |
9회차 (12/12) | ◼ 1982년 6월 16일 강의 - “~의 이름으로” 행동하기 |위임(대표)에 대하여 | 국가와 관점주의 | 사회 세계에 대한 진리(진실)의 문제 | 합의 혹은 객관적 증거를 통한 인준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강의] 부르디외 강의록 《일반사회학》 해설 강의 - 사회학의 기초 개념 1. 분류투쟁
※ 결제 완료되면 녹화영상 시청할 수 있는 링크와 강의자료 보내드립니다.
📑 개요
소개 | 이 강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에르 부르디외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 중 처음 5년 동안 행해진 그의 첫 이론적 종합을 이해하는 것이다. 부르디외는 콜레주 드 프랑스 석좌교수로 임용되기 직전 각각 실증적 연구와 이론적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업적이라 평가되는 『구별짓기』(1979), 『실천감각』(1980)를 출간했다. 하지만, 이 두 저서엔 부르디외의 이론적 개념들이 활용되고 있을 뿐 설명되진 않는다. 부르디외는 1981~1986년 시기에 와서야 비로소 그의 연구의 무의식을 이루는 개념들에 대해서 가장 상세히 설명할 기회를 얻는다. 그의 제자인 로익 바캉과 함께 시카고와 파리를 오가며 진행되었던 그의 연구 및 이론에 대한 면밀한 검토 작업(『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은 바로 이 시기 진행되었던 강의를 토대로 구체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강의는 그가 이론의 기원에 관한 새로운 재구성을 정교화하고 확장시킨, 이론의 체계적인 소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 책에서 시도된 기획은 동일한 것이 없으며 기존에 제시된 적 없는 그의 연구에 대한 아마도 최상의 입문서를 의미할 것이다.” 책임편집자의 이와 같은 설명은 강의록 『일반사회학』이 지닌 의미를 간명하고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둘째, 부르디외의 강의록 『일반사회학』의 번역 초고를 토대로 이뤄지는 본 강의는, 강의에 참여하는 분들에게 강의 중 질의/응답 과정을 통해 번역 초고에 대한 유의미한 피드백을 형성하고, 이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공동작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부르디외의 사회이론과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는 학생, 연구자 등에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이론적 도구를 제공하고, 잠재적인 협업 및 공동 연구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
일정 | 2024년 10월 10일 ~ 12월 12일 (9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박진수 학부 과정에서 사회학과 윤리교육을, 석사 및 박사 과정에서 사회학을 공부하였다.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유럽사회학연구소 소속 박사과정을 밟았다. 사회(학)이론, 문화/예술사회학, 문화/예술비평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 및 활동 중이다. |
교재/참고문헌 | ◼ Pierre Bourdieu, Sociologie générale volume 1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81-1983), Éditions de Seuil, 2015 (*번역본 제공) ◼ 피에르 부르디외·로익 바캉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이상길 역, 그린비, 2015) ◼ 피에르 부르디외·로제 샤르티에 『사회학자와 역사학자』(이상길·배세진 역, 킹콩북, 2019) |
수강료 | 일반회원 20만원, 청년회원(35세 이하) 12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
📅 세부 일정
1회차 (10/10) | 왜 이 강의를 하는가: 세계/프랑스 사회학의 계보에서 부르디외의 자리, 부르디외의 연구 경력에서 《일반사회학》 강의의 자리, 강의자는 어떻게 부르디외를 만나게 되었고, 왜 공부하게 되었는가 |
10/17 | 휴 강 |
2회차 (10/24) | ◼ 1982년 4월 28일 강의 - 분류란 무엇인가 | 분류하는 주체의 분류 | 구성된 구분과 실제 구분 |
3회차 (10/31) | ◼ 1982년 5월 5일 강의 - 제정 행위 | 주술적 행위인 모욕 | 개인의 코드화 | 현실을 오려내기 |
4회차 (11/07) | ◼ 1982년 5월 12일 강의 - 객관적 분류와 객관성 | 객관적 지표와 자기 표출 전략 | 객관적 표지의 객관적 정의? | 모든 관점들의 실측도 |
5회차 (11/14) | ◼ 1982년 5월 19일 강의 - 정의 원칙의 합법적 정의 | 제헌 행위로서 연구 활동 | 투쟁 내기물로서 분류 | 객관주의와 객관주의의 객관화 | 훌륭한 분류와 스콜라적 편향 | 이론적 분류와 실천적 분류 |
6회차 (11/21) | ◼ 1982년 5월 26일 강의 - 양자택일을 넘어서기 | 실재와 실재의 재현(표상) | 사회적인 것의 자율성과 각성(이해)의 문제 | 법, 이론 효과의 특수한 사례 | 공통감각으로서의 낱말(단어)들 |
7회차 (11/28) | ◼ 1982년 6월 2일 강의 - 성찰행위 | 분류에 대한 상징투쟁 | 상징자본 | 집단 간 경계의 조작 | 자신의 자본을 옹호하기 |
8회차 (12/05) | ◼ 1982년 6월 9일 강의 - 상징자본의 축적 | 객관화 형식으로서 이름과 타이틀 | 공식화 | 상징자본의 제도화 | 공인된 상상계 |
9회차 (12/12) | ◼ 1982년 6월 16일 강의 - “~의 이름으로” 행동하기 |위임(대표)에 대하여 | 국가와 관점주의 | 사회 세계에 대한 진리(진실)의 문제 | 합의 혹은 객관적 증거를 통한 인준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Related Article
상품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