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확인
위치확인
.
[강의] 인구학 강의 2 - 인구 이동과 대도시화 (1)
※ 결제 완료되면 녹화영상 시청할 수 있는 링크와 강의자료 보내드립니다.
📑 개요
소개 | 인구학에서 인구 이동은 한번도 제대로 된 주제로 검토되지 않았다. 지난번 <인구학 강의 1>에서 다룬 출생은 근래에 경제학, 사회학, 정책학 등에서 검토된 결과들이 인구학의 모델에 포함되기 시작하기라도 했지만, 인구 이동은 지역별 인구 추계를 고려하기 위해 언급되는 외생 변수일뿐이다. 이번 강의는 철저하게 인구학의 외부에 있는 인구 이동을 살펴본다. 인구 이동이 주로 인구 분포와 함께 지리학에서 다루어졌지만, 강의 내용은 인구지리학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구가 공간상으로 움직인다는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다양한 분야의 논의를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얻는 직관 또한 다를 수 있다. 강의를 듣고 ‘이민’, ‘젠더’, ‘노동’, ‘복지’, ‘도시’, 등등 수강생들의 전공에 따라 강의 내용은 다르게 발전할 수 있다. 강의는 단순한 현상, ‘사람들이 움직인다’, 이것이 얽혀 있는 수많은 맥락을 들춰낼 것이고 생각들을 엮고자 한다. ※ '인구 이동’은 네 번의 강의로 다룰 수 없는 주제이기 때문에 여러 번으로 나눠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일정 | 2024년 9월 4일 ~ 10월 2일 (4회)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 9시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임동근 지리학자.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저자. 프랑스 파리7대학 지리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서울을 통치하기: 인구 통제와 영토관리”로 해방 후 서울의 변화를 다뤘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BK교수로 있었고,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있다. |
교재 | 강사 준비한 강의안 |
수강료 | 일반회원 10만원 | 청년회원(35세 이하) 6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
📅 세부 일정
1회차 (9/04) | 다양한 학문이 설명하는 ‘이동’ 물리학, 생물학, 과학철학 등에서 설명하는 이동의 이론틀들을 보고, 인구의 이동을 분석한 20세기 후반의 문제설정들을 검토한다. |
2회차 (9/11) | 20세기 국제이주 국경이 국제 질서의 한 축으로 만들어지며 개념화된 국제 이주의 역사를 살펴본다. 프롤로그 강의에서 본 ‘국제 이주의 통계’의 주제를 확장한 강의이지만, 20세기 후반의 인구 이동을 보다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
휴 강 (9/18) | 추석 연휴 |
3회차 (9/25) | 우리나라의 ‘이농향도’ 농촌을 떠나 도시로 오는 사람들, 이는 논문에서, 소설에서, 신문 기사에서, 영화에서 등등 다양한 텍스트에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화와 수도권 집중을 만든 이 현상들을 당시 시대 상황과 함께 살펴본다. |
4회차 (10/2) | 인구학의 인구 이동 인구학에서 거의 유일하게 인구 이동이 고려되는 것은 인구 추계이다. 통계청에서 만든 인구 추계에서 인구 이동이 어떻게 고려되는 지를 보고, 그 외 소수이지만 출생, 사망 등을 인구 이동과 함께 고려하는 인구학 논문들을 살펴본다. 과연 인구학적 인식론에서 인구 이동이 자리잡을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설명한다.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강의] 인구학 강의 2 - 인구 이동과 대도시화 (1)
※ 결제 완료되면 녹화영상 시청할 수 있는 링크와 강의자료 보내드립니다.
📑 개요
소개 | 인구학에서 인구 이동은 한번도 제대로 된 주제로 검토되지 않았다. 지난번 <인구학 강의 1>에서 다룬 출생은 근래에 경제학, 사회학, 정책학 등에서 검토된 결과들이 인구학의 모델에 포함되기 시작하기라도 했지만, 인구 이동은 지역별 인구 추계를 고려하기 위해 언급되는 외생 변수일뿐이다. 이번 강의는 철저하게 인구학의 외부에 있는 인구 이동을 살펴본다. 인구 이동이 주로 인구 분포와 함께 지리학에서 다루어졌지만, 강의 내용은 인구지리학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구가 공간상으로 움직인다는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다양한 분야의 논의를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얻는 직관 또한 다를 수 있다. 강의를 듣고 ‘이민’, ‘젠더’, ‘노동’, ‘복지’, ‘도시’, 등등 수강생들의 전공에 따라 강의 내용은 다르게 발전할 수 있다. 강의는 단순한 현상, ‘사람들이 움직인다’, 이것이 얽혀 있는 수많은 맥락을 들춰낼 것이고 생각들을 엮고자 한다. ※ '인구 이동’은 네 번의 강의로 다룰 수 없는 주제이기 때문에 여러 번으로 나눠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일정 | 2024년 9월 4일 ~ 10월 2일 (4회)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 9시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임동근 지리학자.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저자. 프랑스 파리7대학 지리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서울을 통치하기: 인구 통제와 영토관리”로 해방 후 서울의 변화를 다뤘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BK교수로 있었고,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있다. |
교재 | 강사 준비한 강의안 |
수강료 | 일반회원 10만원 | 청년회원(35세 이하) 6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
📅 세부 일정
1회차 (9/04) | 다양한 학문이 설명하는 ‘이동’ 물리학, 생물학, 과학철학 등에서 설명하는 이동의 이론틀들을 보고, 인구의 이동을 분석한 20세기 후반의 문제설정들을 검토한다. |
2회차 (9/11) | 20세기 국제이주 국경이 국제 질서의 한 축으로 만들어지며 개념화된 국제 이주의 역사를 살펴본다. 프롤로그 강의에서 본 ‘국제 이주의 통계’의 주제를 확장한 강의이지만, 20세기 후반의 인구 이동을 보다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
휴 강 (9/18) | 추석 연휴 |
3회차 (9/25) | 우리나라의 ‘이농향도’ 농촌을 떠나 도시로 오는 사람들, 이는 논문에서, 소설에서, 신문 기사에서, 영화에서 등등 다양한 텍스트에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화와 수도권 집중을 만든 이 현상들을 당시 시대 상황과 함께 살펴본다. |
4회차 (10/2) | 인구학의 인구 이동 인구학에서 거의 유일하게 인구 이동이 고려되는 것은 인구 추계이다. 통계청에서 만든 인구 추계에서 인구 이동이 어떻게 고려되는 지를 보고, 그 외 소수이지만 출생, 사망 등을 인구 이동과 함께 고려하는 인구학 논문들을 살펴본다. 과연 인구학적 인식론에서 인구 이동이 자리잡을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설명한다.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Related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