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확인
위치확인
.
[강의] 이론 수용의 지식사회학
※ 결제 완료되면 녹화영상 시청할 수 있는 링크와 강의자료 보내드립니다.
📑 개요
소개 | ‘지식의 여행’ 현상에 관심을 가진 학생과 연구자들을 위한 이 강좌는 국경을 넘어 지식이 전파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술장의 지식사회학을 다룬다. 참여자들은 지식의 이동을 원산지와 수용지 학술 공간 사이의 역학관계 속에서 규명하려 한 미셸 라몽(Michèle Lamont), 프랑소아 퀴세(François Cusset), 번역사회학(Sociology of Translation)의 기획을 따라가면서, 우리가 왜 이 현상을 학술장 공간 내 지식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하는지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어 이러한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학술장 이론과 그의 방법론적 제안들을 디딤돌 삼아 앞으로의 수용 연구가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비전을 그려본다. |
일정 | 2024년 9월 3일 ~ 10월 1일 (4주) 매주 화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이시윤(동아대학교 융합지식과사회연구소 전임연구원) 위르겐 하버마스의 한국 수용 과정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같은 내용을 책 『하버마스 스캔들: 화려한 실패의 지식사회학』(파이돈)으로 펴냈다. 서구이론 수용 현상에 대한 후속 작업들을 비롯하여 비판이론과 종교, 생태주의가 만나는 지점에서 지식-담론들의 생산과 유통과정을 성찰적이고 사회학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
교재 | ◼ 프랑수아 퀴세 『루이비통이 된 푸코: 위기의 미국 대학, 프랑스 이론을 발명하다』(난장, 2012) ◼ M. Wolf & A. Fukari. (eds.) Constructing a Sociology of Transl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7) ◼ 기타 피에르 부르디외의 논문을 포함한 국내외 각종 연구 |
수강료 | 일반회원 10만원 | 청년회원(35세 이하) 6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
📅 세부 일정
1회차 (9/03) | 지배적 학자가 되기 & 잊혀진 학자가 되기 - Michèle Lamont. "How to Become a Dominant French Philosopher: The Case of Jacques Derrida."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3(3): 584-622. - Neil McLaughlin. 1998. "How to Become a Forgotten Intellectual: Intellectual Movements and the Rise and Fall of Erich Fromm." Sociological Forum 13: 215-246. |
2회차 (9/10) | 루이비통이 된 푸코 - 프랑수아 퀴세 『루이비통이 된 푸코: 위기의 미국 대학, 프랑스 이론을 발명하다』(난장, 2012) |
휴 강 (9/17) | 추석 연휴 |
3회차 (9/24) | 번역사회학 연구 프로그램 - M. Wolf & A. Fukari. (eds.). 2007. Constructing a Sociology of Translation.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김봉석. 2017. "한국사회학에 대한 번역사회학적 연구 시론." 『문화와사회』 24: 219-288. - 이상길. 2011. "학술번역과 지식수용, 혹은 ‘이론은 어떻게 여행하는가?’: 피에르 부르디외의 경우." 『언론과사회』 19(4): 232-289. |
4회차 (10/1) | 부르디외적 이론 수용 지식사회학의 가능성 - Pierre Bourdieu. "The Specificity of the Scientific Field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Progress of Reason." Social Science Information. 14(6): 19-47.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강의] 이론 수용의 지식사회학
※ 결제 완료되면 녹화영상 시청할 수 있는 링크와 강의자료 보내드립니다.
📑 개요
소개 | ‘지식의 여행’ 현상에 관심을 가진 학생과 연구자들을 위한 이 강좌는 국경을 넘어 지식이 전파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술장의 지식사회학을 다룬다. 참여자들은 지식의 이동을 원산지와 수용지 학술 공간 사이의 역학관계 속에서 규명하려 한 미셸 라몽(Michèle Lamont), 프랑소아 퀴세(François Cusset), 번역사회학(Sociology of Translation)의 기획을 따라가면서, 우리가 왜 이 현상을 학술장 공간 내 지식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하는지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어 이러한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학술장 이론과 그의 방법론적 제안들을 디딤돌 삼아 앞으로의 수용 연구가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비전을 그려본다. |
일정 | 2024년 9월 3일 ~ 10월 1일 (4주) 매주 화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이시윤(동아대학교 융합지식과사회연구소 전임연구원) 위르겐 하버마스의 한국 수용 과정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같은 내용을 책 『하버마스 스캔들: 화려한 실패의 지식사회학』(파이돈)으로 펴냈다. 서구이론 수용 현상에 대한 후속 작업들을 비롯하여 비판이론과 종교, 생태주의가 만나는 지점에서 지식-담론들의 생산과 유통과정을 성찰적이고 사회학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
교재 | ◼ 프랑수아 퀴세 『루이비통이 된 푸코: 위기의 미국 대학, 프랑스 이론을 발명하다』(난장, 2012) ◼ M. Wolf & A. Fukari. (eds.) Constructing a Sociology of Transl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7) ◼ 기타 피에르 부르디외의 논문을 포함한 국내외 각종 연구 |
수강료 | 일반회원 10만원 | 청년회원(35세 이하) 6만원 |
신청 | 우측 상단(모바일은 하단) [신청하기] |
📅 세부 일정
1회차 (9/03) | 지배적 학자가 되기 & 잊혀진 학자가 되기 - Michèle Lamont. "How to Become a Dominant French Philosopher: The Case of Jacques Derrida."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3(3): 584-622. - Neil McLaughlin. 1998. "How to Become a Forgotten Intellectual: Intellectual Movements and the Rise and Fall of Erich Fromm." Sociological Forum 13: 215-246. |
2회차 (9/10) | 루이비통이 된 푸코 - 프랑수아 퀴세 『루이비통이 된 푸코: 위기의 미국 대학, 프랑스 이론을 발명하다』(난장, 2012) |
휴 강 (9/17) | 추석 연휴 |
3회차 (9/24) | 번역사회학 연구 프로그램 - M. Wolf & A. Fukari. (eds.). 2007. Constructing a Sociology of Translation.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김봉석. 2017. "한국사회학에 대한 번역사회학적 연구 시론." 『문화와사회』 24: 219-288. - 이상길. 2011. "학술번역과 지식수용, 혹은 ‘이론은 어떻게 여행하는가?’: 피에르 부르디외의 경우." 『언론과사회』 19(4): 232-289. |
4회차 (10/1) | 부르디외적 이론 수용 지식사회학의 가능성 - Pierre Bourdieu. "The Specificity of the Scientific Field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Progress of Reason." Social Science Information. 14(6): 19-47.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Related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