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 강의록 『주체의 해석학』 강독
240,000원
기간 | 2024.1.4-3.28(12주) |
일시 | 목요일 19:30-21:30 |
튜터 | 박민철 |
위치확인
위치확인
.
[튜터링 세미나] 미셸 푸코 강의록 『주체의 해석학』 강독
📑 개요
소개 | 『주체의 해석학』(1982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에서 푸코는 윤리에 대한 자신의 작업이 겨냥하고 있는 목표를 분명하게 드러낼 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로마 시대에 자기 자신을 돌보고 변형시켰던 기술들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분석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주체의 해석학』의 문장들을 꼼꼼하게 읽으면서 한편으로는 ‘주체화’에 대한 푸코의 사유를 이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 자신을 돌보고 변형시키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오래된 도구들을 탐색하고 시험해볼 것이다. |
일정 | 2023년 1월 4일 ~ 3월 28일 (12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튜터 | 박민철 「통치성에 대한 두 개의 계보학 - 푸코와 아감벤의 ‘통치성’ 개념 비교」(석사학위논문), 「양행(兩行), 두 길로 가는 진인」, 「권력, 주체, 철학 - 푸코 후기 철학의 세 가지 주제」, 「푸코 사유체계에서 자유의 위상」,「한국에서 박사과정생으로 살아간다는 것」등의 글을 썼고 현재는 '푸코의 비판 철학'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 중이다. |
교재 |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동문선) |
참가비 | 일반회원 24만원, 청년회원(35세 이하) 14만원 |
📅 세부 일정
1주차 (1/04) | 강의 소개 & 1982년 1월 6일 강의 전반적 문제틀의 환기: 주체성과 진실 ─ 새로운 이론적 출발점: 자기 배려 ─ 델포이 신전의 격언 ‘너 자신을 알라’에 대한 해석들 ─ 배려의 인간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의 변명》의 세 발췌문 분석 ─ 고대의 철학적·도덕적 삶의 계율로서의 자기 배려 ─ 초기 기독교 텍스트에서의 자기 배려 ─ 일반적 태도로서의 자기 배려, 자기와의 관계, 실천들의 총체 ─ 자기 인식을 위해 자기 배려가 근대에 실추된 이유들: 근대의 도덕, 데카르트의 순간 ─ 영지주의(gnosis)의 예외 ― 철학과 영성 ─ 영성이 요구하는 사항들의 분쟁적 현존 : 데카르트 이전의 과학과 신학; 고전철학과 근대철학: 마르크시즘과 정신분석학 ─ 스파르타의 한 격언 분석: 신분적 특권으로서의 자기 배려 ─ 플라톤의 《알키비아데스》 ─ 알키비아데스의 정치적 주장과 소크라테스의 개입 ─ 젊은 스파르타인들과 페르시아 군주들의 교육과 비교한 알키비아데스의 교육 ─ 《알키비아데스》에서 최초의 자기 배려 요청의 출현 맥락: 정치적 주장; 교육의 결함; 비판적 나이; 정치적 지식의 부재 ─ 한정되지 않은 자기의 속성과 그 정치적 함의 |
2주차 (1/11) | 1982년 1월 13일 강의 소크라테스의 자기 배려 정언 명령의 탄생 맥락: 훌륭한 가문 젊은이들의 정치적 능력; 아테네 학교 교육 및 성교육의 한계; 무지한 사실에 대한 무지 ─ 고대 그리스에 있어서 자기 변형의 실천 ─ 피타고라스주의에서 꿈의 준비와 단련의 기술 ─ 플라톤의 〈파이돈〉에서 자기 테크닉들 ─ 헬레니즘 시대 철학에서 자기 테크닉의 중요성 ─ 《알키비아데스》에 나타난 배려 대상인 자기 존재의 문제 ─ 자기를 영혼으로 설정하기 ─ 영혼을 행위 주체로서 설정하기 ─ 양생술(la diééique), 가정관리술(l’économique), 연애술(l’érotique)과 연관 속에서 본 자기 배려 ─ 배려의 스승의 필요성 ─ 《(알키비아데스》에서 자기 배려의 자기 인식으로의 한정 : 플라톤 저서에서 두 격언의 각축 ─ 눈의 은유: 시각의 원리와 신성의 요소 ─ 대화의 결론: 정의의 배려 ─ 《알키비아데스》의 진본성 문제와 플라톤주의와의 관계 ─ 《알키비아데스》의 자기 배려와 청년의 정치 행위, 교육, 연애술(l’érotique)과의 관계 ─ 플라톤주의에서 자기 배려의 운명에 대한《알키비아데스》의 예견 ─ 플라톤주의의 역설 |
3주차 (1/18) | 1982년 1월 20일 강의 《알키비아데스>에서 기원후 1~2세기에 이르기까지의 자기 배려의 일반적 변화 ─ Epimeleia를 중심으로 한 어휘 연구 ─ 대표적인 표현들 ─ 자기 배려의 일 반화: 실존 전반과 공통 외연을 갖는 자기 배려 ─ 텍스트 독서: 에피쿠로스·무소니우스․루푸스·세네카․에픽테토스·알렉산드리아의 필론 ─ 자기 배려 일반화의 윤리적 결과: 교육적이고 교정적인 축으로서의 자기 배려; 의학적 행위와 철학적 행위의 근접성(공통 개념 : 치료적 목표) ─ 노년의 특권(긍정적 목표와 실존의 이상 지점) ─ 보편적 소명으로의 자기 배려 원리의 보편화와 파당적 현상의 결합 ─ 관련된 사회적 범위: 민중의 문화적 환경에서 로마의 귀족적인 우정의 네트워크까지 ─ 두 가지 다른 예: 에피쿠로스학파와 치료사단체 ─ 법 패러다임의 거부 ─ 호소의 보편성과 선택의 희귀성 같은 이중 분절의 구조적 원리 ─ 구원의 형식 |
4주차 (1/25) | 1982년 1월 27일 강의 1~2세기 자기 배려 실천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환기 ─ 타자의 문제: 플라톤 대화에서 세 가지 유형의 숙달 ─ 헬레니즘·로마 시대: 주체화의 숙달 ─ 세네카의 stultitia 분석 ─ 주체화의 스승인 철학자상 ─ 헬레니즘 시대의 제도적 형식 : 에피쿠로스 학원과 스토아주의 모임 ─ 로마의 제도적 형식: 실존에 대한 사적인 조언자 ─ 기원후 1, 2세기의 직업 철학자와 그의 정치적 선택 ─ 플리니우스의 《서한집》에서의 반-견유학파주의자 유프라테스 ─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학원 밖 철학 : 세네카 ─ 프론토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간의 서신: 실존의 지도에서 양생술, 가정관리술, 연애술의 체계화 ─ 의식 점검 |
5주차 (2/01) | 1982년 2월 3일 강의 《알키비아데스》에 대한 신플라톤주의적 주석: 프로클로스와 올림피오도루스 ─ 정치적인 것과 정화적인 것의 신플라톤주의적 분리 ─ 플라톤에 있어서 자기 배려와 타자 배려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목적, 상호성, 본질적인 내포 ─ 1세기와 2세기의 상황: 자기의 자목적화 ─ 결과: 개종의 원리에 따르는 철학적 삶의 기술, 자기 수양의 발전 ─ 구원 관념의 종교적 의미 ─ Sôtêria와 salus의 의미 ─ 청중으로부터 온 주체성과 진실에 관련된 질문들 ─ 자기에 대한 배려와 타자에 대한 배려: 관계의 역전 ─ 에피쿠로스주의의 우정 개념 ─ 공동체적 존재로서의 스토아주의의 인간 개념 ─ 군주의 그릇된 예외 |
휴 강 (2/08) | |
6주차 (2/15) | 1982년 2월 10일 강의 교육과 정치 활동과 관련한 자기 배려의 이중적 변화에 대한 환기 ─ 자기의 자목적화에 대한 은유 ─ 실천적 도식의 발명: 자기로의 전향(la conversion à soi) ─ 플라톤의 epistrophê와 이것이 자기로의 전향과 맺는 관계 ─ 기독교의 metanoia와 이것이 자기로의 전향파 맺는 관계 ─ Metanoia의 고대 그리스적 의미 ─ 시선의 변환: 호기심 비판 ─ 신체 운동적인 집중 ─ 일반적 이론의 틀: 진실 말하기(véidiction)와 주체화 ─ 견유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세계에 대한 앓과 자기 실천: 데메트리우스의 예 ─ 데메트리우스에 있어서 유용한 인식의 특징화 ─ 윤리시학적 앎 ─ 에피쿠로스의 생리학적 인식 ─ 에피쿠로스주의 생리학자의 parrhêsia(진실 말하기) |
7주차 (2/22) | 1982년 2월 17일 강의 자기 배려의 완결된 형식인 자기로의 전향 ─ 항해의 은유 ─ 통치성의 모델인 항해술 ─ 정치와 법률적 주체에 반하는 통치성과 자기와의 관계 ─ 자기 인식의 원칙이 부재하는 자기로의 전향 ─ 내밀한 두 모델: 플라톤의 상기와 기독교의 주해 ─ 숨겨진 모델: 헬레니즘적인 자기로의 전향 ─ 스토아주의 사상에 있어서 세계 인식과 자기 인식 ─ 세네카의 예: 《루킬리우스에게 보내는 서신〉에서의 교양 비평; 《자연의 의문들》에서 시선의 운동 ─ 《자연의 의문들》 3부 서문 분석 종결 ─ 서문 연구 ─ 세네카에 있어서 인식하는 영혼의 활동 : 묘사, 일반적 특성, 재귀 효과(effect en retour) ─ 결론: 자기 인식과 세계 인식의 본질적인 연루; 세계에 대한 앎의 해방적 효과; 플라톤주의 모델로의 환원 불가능성 ─ 굽어보는 시선(la vue plongeante) |
8주차 (2/29) | 1982년 2월 24일 강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지식의 영적인 양태화: 표상 분석 작업; 정의하고 기술하기; 보고 명명하기; 가치평가하고 체험하기; 영혼의 위대성에 접근하기 ─ 에픽테토스에 있어서 영적인 훈련의 예들 ─ 표상에 대한 기독교의 주해와 스토아주의의 분석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 되돌아가기: 시간 속에서 대상을 분해하는 훈련; 물질적 구성 성분으로 대상을 분석하는 훈련; 대상을 환원적으로 기술하는 훈련 ─ 영적 지식의 개념적 구조 ─ 파우스트의 형상 ─ 자기 수련(askêis)과 관련한 덕 ─ 과학(mathêis) 내에서 주체의 객관적 인식에 대한 참조의 부재 ─ 자기 수련 내에서 법에 대한 참조의 부재 ─ 자기 수련(askêis)의 목적과 수단 ─ 장비(paraskeuê)를 특징짓기 ─ 장비(paraskeuê)의 내용: 담론과 행동 ─ 담론의 존재 방식: prokheiron ─ 참되게 말하기를 주체에 내장하는 훈련으로서의 자기 수련(askêis) |
9주차 (3/07) | 1982년 3월 3일 강의 기독교 고행과 철학적 고행의 개념적 분리 ─ 주체화의 실천 : 경청 훈련의 중요성 ─ 수동성과 능동성 사이에 있는 경청의 애매모호한 속성: 플루타르코스의 《경청에 관한 논설》; 세네카의 백여덟번째 서신; 에픽테토스 어록 Ⅱ,23 ─ Tekhnê로 고민하는 경청 ─ 경청의 고행적 규칙들: 정숙; 훌륭한 경청자의 정확한 제스처; 주의(담론과 관련한 애착과 즉각적인 기억을 통한 담론의 주체화) ─ 적절한 독서 실천 규칙과 그 목적의 부여 : 명상 ─ 주체에 대한 사유 활동으로서의 meletê/meditatio의 의미 ─ 담론 흡수의 신체적 훈련으로서의 글쓰기 ─ 주체화/진실 말하기의 순환으로서의 서신 교환 ─ 기독교 영성에서 말하는 기술: 지도자의 참된 말의 제 형태; 피지도자의 고백; 구원의 조건으로서의 진실 말하기(dire-vrai) ─ 그리스·로마의 지도 행위: 피지도자측에서 용의주도한 정숙을 통한 진실의 주체를 구축하기; 스승의 담론에서 parrhêsia의 의무 |
10주차 (3/14) | 1982년 3월 10일 강의 스승의 담론에서 윤리적 태도와 기술적 절차로서의 parrhêsia ─ Parrhêsia의 적: 아첨과 수사학 ─ 새로운 권력 체제에 있어서 아첨과 분노에 관한 테마의 중요성 ─ 한 예: 세네카의 《자연의 의문들》4편 서문(권력 행사, 자기와의 관계, 아첨의 위험성) ─ 군주의 취약한 지혜 ─ Parrhêsia/수사학의 대립점들: 진실과 거짓의 분리; 테크닉의 위상; 주체화 효과 ─ Parrhêsia의 긍정적 개념화: 필로 데모스의 《파레시아에 관하여》 ─ Parrhêsia 분석 계속: 갈레노스의 《영혼의 정념론》 ─ 세네카에 따른 libertas의 특징짓기: 대중적이고 감정이입적인 웅변술의 거부; 투명성과 엄격성; 유용한 담론의 통합; 추측의 기술 ─ Libertas의 구조: 사유의 완결된 전승과 주체의 자기 담론 내 참여 ─ 교육과 심리교육(psychagogie): 그리스·로마철학과 기독교 내에서 관계와 변혁 |
11주차 (3/21) | 1982년 3월 17일 강의 피타고라스주의에서 정숙 규칙이 갖는 의미에 대한부가 설명 ─ ‘금욕실천론’의 정의 ─ 그리스 자기 수련에 대한 역사 인종학의 결산 ─ 《알키비아데스》의 환기: 신성의 거울인 자기 인식으로 자기 수련의 후퇴 ─ 1, 2세기의 자기 수련: (자기 인식의 원칙과 신성한 것 내에서 인정의 원칙과 관련한) 이중적 분리 ─ 헬레니즘·로마 자기 수련의 기독교적 운명 : 그노시스의 거부 ─ 인생의 작품 ─ 실존의 기술, 두 영역의 설명: 사유를 통한 훈련, 실제적인 상황 속에서의 훈련 ─ 단식의 실천 : 플라톤에 있어서의 건장한 신체와 무소니우스 루푸스에 있어서의 인내력 있는 신체 ─ 시험의 실천과 그 특성들 ─ 시련으로서의 생 ─ 세네카의《신의 섭리에 관하여》: 존재의 시련과 그 식별적 기능 ─ 에픽테토스와 철학자-척후병 ─ 질병의 변모: 고대 스토아주의에서 에픽테토스로 ─ 그리스 비극에서의 시련 ─ 헬레니즘 시대 실존의 준비에 대한 무관심으로부터 불멸과 구원에 대한 기독교 교의에 대한 주목 ─ 생활의 기술과 자기 배려: 관계의 역전 ─ 이 역전의 징후: 그리스 소설에서 순결 테마 |
12주차 (3/28) | 1982년 3월 24일 강의 지난번 강의에서 획득한 바의 환기 ─ 플라톤의 《알키비아데스》와 1, 2세기 철학 텍스트에서 자기에 의한 자기 파악: 비교 연구 ─ 서구 성찰성의 주된 세 가지 형식: 상기·명상·방법 ─ 현대 서구 철학사 기술의 오류 ─ 명상의 두 계열: 진실 내용의 시험과 진실 주체의 시험 ─ 미래 투영의 그리스적인 실추: 기억의 우선성, 미래의 존재론적-윤리적 공허 ─ 준비로서의 병의 추측의 스토아주의적 수련 ─ 병의 추측 시험의 단계 ─ 미래의 폐쇄와 현실 축소로서의 질병의 추정 ─ 죽음에 대한 명상: 수직적이고 회고적인 시선 ─ 세네카와 에픽테토스에 있어서의 의식 점검 ─ 철학적 금욕 실천 ─ 생명의 기술, 자기 시험, 세계의 객관화: 서구철학의 도전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튜터링 세미나] 미셸 푸코 강의록 『주체의 해석학』 강독
📑 개요
소개 | 『주체의 해석학』(1982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에서 푸코는 윤리에 대한 자신의 작업이 겨냥하고 있는 목표를 분명하게 드러낼 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로마 시대에 자기 자신을 돌보고 변형시켰던 기술들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분석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주체의 해석학』의 문장들을 꼼꼼하게 읽으면서 한편으로는 ‘주체화’에 대한 푸코의 사유를 이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 자신을 돌보고 변형시키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오래된 도구들을 탐색하고 시험해볼 것이다. |
일정 | 2023년 1월 4일 ~ 3월 28일 (12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 녹화 영상 제공) |
튜터 | 박민철 「통치성에 대한 두 개의 계보학 - 푸코와 아감벤의 ‘통치성’ 개념 비교」(석사학위논문), 「양행(兩行), 두 길로 가는 진인」, 「권력, 주체, 철학 - 푸코 후기 철학의 세 가지 주제」, 「푸코 사유체계에서 자유의 위상」,「한국에서 박사과정생으로 살아간다는 것」등의 글을 썼고 현재는 '푸코의 비판 철학'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 중이다. |
교재 |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동문선) |
참가비 | 일반회원 24만원, 청년회원(35세 이하) 14만원 |
📅 세부 일정
1주차 (1/04) | 강의 소개 & 1982년 1월 6일 강의 전반적 문제틀의 환기: 주체성과 진실 ─ 새로운 이론적 출발점: 자기 배려 ─ 델포이 신전의 격언 ‘너 자신을 알라’에 대한 해석들 ─ 배려의 인간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의 변명》의 세 발췌문 분석 ─ 고대의 철학적·도덕적 삶의 계율로서의 자기 배려 ─ 초기 기독교 텍스트에서의 자기 배려 ─ 일반적 태도로서의 자기 배려, 자기와의 관계, 실천들의 총체 ─ 자기 인식을 위해 자기 배려가 근대에 실추된 이유들: 근대의 도덕, 데카르트의 순간 ─ 영지주의(gnosis)의 예외 ― 철학과 영성 ─ 영성이 요구하는 사항들의 분쟁적 현존 : 데카르트 이전의 과학과 신학; 고전철학과 근대철학: 마르크시즘과 정신분석학 ─ 스파르타의 한 격언 분석: 신분적 특권으로서의 자기 배려 ─ 플라톤의 《알키비아데스》 ─ 알키비아데스의 정치적 주장과 소크라테스의 개입 ─ 젊은 스파르타인들과 페르시아 군주들의 교육과 비교한 알키비아데스의 교육 ─ 《알키비아데스》에서 최초의 자기 배려 요청의 출현 맥락: 정치적 주장; 교육의 결함; 비판적 나이; 정치적 지식의 부재 ─ 한정되지 않은 자기의 속성과 그 정치적 함의 |
2주차 (1/11) | 1982년 1월 13일 강의 소크라테스의 자기 배려 정언 명령의 탄생 맥락: 훌륭한 가문 젊은이들의 정치적 능력; 아테네 학교 교육 및 성교육의 한계; 무지한 사실에 대한 무지 ─ 고대 그리스에 있어서 자기 변형의 실천 ─ 피타고라스주의에서 꿈의 준비와 단련의 기술 ─ 플라톤의 〈파이돈〉에서 자기 테크닉들 ─ 헬레니즘 시대 철학에서 자기 테크닉의 중요성 ─ 《알키비아데스》에 나타난 배려 대상인 자기 존재의 문제 ─ 자기를 영혼으로 설정하기 ─ 영혼을 행위 주체로서 설정하기 ─ 양생술(la diééique), 가정관리술(l’économique), 연애술(l’érotique)과 연관 속에서 본 자기 배려 ─ 배려의 스승의 필요성 ─ 《(알키비아데스》에서 자기 배려의 자기 인식으로의 한정 : 플라톤 저서에서 두 격언의 각축 ─ 눈의 은유: 시각의 원리와 신성의 요소 ─ 대화의 결론: 정의의 배려 ─ 《알키비아데스》의 진본성 문제와 플라톤주의와의 관계 ─ 《알키비아데스》의 자기 배려와 청년의 정치 행위, 교육, 연애술(l’érotique)과의 관계 ─ 플라톤주의에서 자기 배려의 운명에 대한《알키비아데스》의 예견 ─ 플라톤주의의 역설 |
3주차 (1/18) | 1982년 1월 20일 강의 《알키비아데스>에서 기원후 1~2세기에 이르기까지의 자기 배려의 일반적 변화 ─ Epimeleia를 중심으로 한 어휘 연구 ─ 대표적인 표현들 ─ 자기 배려의 일 반화: 실존 전반과 공통 외연을 갖는 자기 배려 ─ 텍스트 독서: 에피쿠로스·무소니우스․루푸스·세네카․에픽테토스·알렉산드리아의 필론 ─ 자기 배려 일반화의 윤리적 결과: 교육적이고 교정적인 축으로서의 자기 배려; 의학적 행위와 철학적 행위의 근접성(공통 개념 : 치료적 목표) ─ 노년의 특권(긍정적 목표와 실존의 이상 지점) ─ 보편적 소명으로의 자기 배려 원리의 보편화와 파당적 현상의 결합 ─ 관련된 사회적 범위: 민중의 문화적 환경에서 로마의 귀족적인 우정의 네트워크까지 ─ 두 가지 다른 예: 에피쿠로스학파와 치료사단체 ─ 법 패러다임의 거부 ─ 호소의 보편성과 선택의 희귀성 같은 이중 분절의 구조적 원리 ─ 구원의 형식 |
4주차 (1/25) | 1982년 1월 27일 강의 1~2세기 자기 배려 실천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환기 ─ 타자의 문제: 플라톤 대화에서 세 가지 유형의 숙달 ─ 헬레니즘·로마 시대: 주체화의 숙달 ─ 세네카의 stultitia 분석 ─ 주체화의 스승인 철학자상 ─ 헬레니즘 시대의 제도적 형식 : 에피쿠로스 학원과 스토아주의 모임 ─ 로마의 제도적 형식: 실존에 대한 사적인 조언자 ─ 기원후 1, 2세기의 직업 철학자와 그의 정치적 선택 ─ 플리니우스의 《서한집》에서의 반-견유학파주의자 유프라테스 ─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학원 밖 철학 : 세네카 ─ 프론토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간의 서신: 실존의 지도에서 양생술, 가정관리술, 연애술의 체계화 ─ 의식 점검 |
5주차 (2/01) | 1982년 2월 3일 강의 《알키비아데스》에 대한 신플라톤주의적 주석: 프로클로스와 올림피오도루스 ─ 정치적인 것과 정화적인 것의 신플라톤주의적 분리 ─ 플라톤에 있어서 자기 배려와 타자 배려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목적, 상호성, 본질적인 내포 ─ 1세기와 2세기의 상황: 자기의 자목적화 ─ 결과: 개종의 원리에 따르는 철학적 삶의 기술, 자기 수양의 발전 ─ 구원 관념의 종교적 의미 ─ Sôtêria와 salus의 의미 ─ 청중으로부터 온 주체성과 진실에 관련된 질문들 ─ 자기에 대한 배려와 타자에 대한 배려: 관계의 역전 ─ 에피쿠로스주의의 우정 개념 ─ 공동체적 존재로서의 스토아주의의 인간 개념 ─ 군주의 그릇된 예외 |
휴 강 (2/08) | |
6주차 (2/15) | 1982년 2월 10일 강의 교육과 정치 활동과 관련한 자기 배려의 이중적 변화에 대한 환기 ─ 자기의 자목적화에 대한 은유 ─ 실천적 도식의 발명: 자기로의 전향(la conversion à soi) ─ 플라톤의 epistrophê와 이것이 자기로의 전향과 맺는 관계 ─ 기독교의 metanoia와 이것이 자기로의 전향파 맺는 관계 ─ Metanoia의 고대 그리스적 의미 ─ 시선의 변환: 호기심 비판 ─ 신체 운동적인 집중 ─ 일반적 이론의 틀: 진실 말하기(véidiction)와 주체화 ─ 견유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세계에 대한 앓과 자기 실천: 데메트리우스의 예 ─ 데메트리우스에 있어서 유용한 인식의 특징화 ─ 윤리시학적 앎 ─ 에피쿠로스의 생리학적 인식 ─ 에피쿠로스주의 생리학자의 parrhêsia(진실 말하기) |
7주차 (2/22) | 1982년 2월 17일 강의 자기 배려의 완결된 형식인 자기로의 전향 ─ 항해의 은유 ─ 통치성의 모델인 항해술 ─ 정치와 법률적 주체에 반하는 통치성과 자기와의 관계 ─ 자기 인식의 원칙이 부재하는 자기로의 전향 ─ 내밀한 두 모델: 플라톤의 상기와 기독교의 주해 ─ 숨겨진 모델: 헬레니즘적인 자기로의 전향 ─ 스토아주의 사상에 있어서 세계 인식과 자기 인식 ─ 세네카의 예: 《루킬리우스에게 보내는 서신〉에서의 교양 비평; 《자연의 의문들》에서 시선의 운동 ─ 《자연의 의문들》 3부 서문 분석 종결 ─ 서문 연구 ─ 세네카에 있어서 인식하는 영혼의 활동 : 묘사, 일반적 특성, 재귀 효과(effect en retour) ─ 결론: 자기 인식과 세계 인식의 본질적인 연루; 세계에 대한 앎의 해방적 효과; 플라톤주의 모델로의 환원 불가능성 ─ 굽어보는 시선(la vue plongeante) |
8주차 (2/29) | 1982년 2월 24일 강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지식의 영적인 양태화: 표상 분석 작업; 정의하고 기술하기; 보고 명명하기; 가치평가하고 체험하기; 영혼의 위대성에 접근하기 ─ 에픽테토스에 있어서 영적인 훈련의 예들 ─ 표상에 대한 기독교의 주해와 스토아주의의 분석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 되돌아가기: 시간 속에서 대상을 분해하는 훈련; 물질적 구성 성분으로 대상을 분석하는 훈련; 대상을 환원적으로 기술하는 훈련 ─ 영적 지식의 개념적 구조 ─ 파우스트의 형상 ─ 자기 수련(askêis)과 관련한 덕 ─ 과학(mathêis) 내에서 주체의 객관적 인식에 대한 참조의 부재 ─ 자기 수련 내에서 법에 대한 참조의 부재 ─ 자기 수련(askêis)의 목적과 수단 ─ 장비(paraskeuê)를 특징짓기 ─ 장비(paraskeuê)의 내용: 담론과 행동 ─ 담론의 존재 방식: prokheiron ─ 참되게 말하기를 주체에 내장하는 훈련으로서의 자기 수련(askêis) |
9주차 (3/07) | 1982년 3월 3일 강의 기독교 고행과 철학적 고행의 개념적 분리 ─ 주체화의 실천 : 경청 훈련의 중요성 ─ 수동성과 능동성 사이에 있는 경청의 애매모호한 속성: 플루타르코스의 《경청에 관한 논설》; 세네카의 백여덟번째 서신; 에픽테토스 어록 Ⅱ,23 ─ Tekhnê로 고민하는 경청 ─ 경청의 고행적 규칙들: 정숙; 훌륭한 경청자의 정확한 제스처; 주의(담론과 관련한 애착과 즉각적인 기억을 통한 담론의 주체화) ─ 적절한 독서 실천 규칙과 그 목적의 부여 : 명상 ─ 주체에 대한 사유 활동으로서의 meletê/meditatio의 의미 ─ 담론 흡수의 신체적 훈련으로서의 글쓰기 ─ 주체화/진실 말하기의 순환으로서의 서신 교환 ─ 기독교 영성에서 말하는 기술: 지도자의 참된 말의 제 형태; 피지도자의 고백; 구원의 조건으로서의 진실 말하기(dire-vrai) ─ 그리스·로마의 지도 행위: 피지도자측에서 용의주도한 정숙을 통한 진실의 주체를 구축하기; 스승의 담론에서 parrhêsia의 의무 |
10주차 (3/14) | 1982년 3월 10일 강의 스승의 담론에서 윤리적 태도와 기술적 절차로서의 parrhêsia ─ Parrhêsia의 적: 아첨과 수사학 ─ 새로운 권력 체제에 있어서 아첨과 분노에 관한 테마의 중요성 ─ 한 예: 세네카의 《자연의 의문들》4편 서문(권력 행사, 자기와의 관계, 아첨의 위험성) ─ 군주의 취약한 지혜 ─ Parrhêsia/수사학의 대립점들: 진실과 거짓의 분리; 테크닉의 위상; 주체화 효과 ─ Parrhêsia의 긍정적 개념화: 필로 데모스의 《파레시아에 관하여》 ─ Parrhêsia 분석 계속: 갈레노스의 《영혼의 정념론》 ─ 세네카에 따른 libertas의 특징짓기: 대중적이고 감정이입적인 웅변술의 거부; 투명성과 엄격성; 유용한 담론의 통합; 추측의 기술 ─ Libertas의 구조: 사유의 완결된 전승과 주체의 자기 담론 내 참여 ─ 교육과 심리교육(psychagogie): 그리스·로마철학과 기독교 내에서 관계와 변혁 |
11주차 (3/21) | 1982년 3월 17일 강의 피타고라스주의에서 정숙 규칙이 갖는 의미에 대한부가 설명 ─ ‘금욕실천론’의 정의 ─ 그리스 자기 수련에 대한 역사 인종학의 결산 ─ 《알키비아데스》의 환기: 신성의 거울인 자기 인식으로 자기 수련의 후퇴 ─ 1, 2세기의 자기 수련: (자기 인식의 원칙과 신성한 것 내에서 인정의 원칙과 관련한) 이중적 분리 ─ 헬레니즘·로마 자기 수련의 기독교적 운명 : 그노시스의 거부 ─ 인생의 작품 ─ 실존의 기술, 두 영역의 설명: 사유를 통한 훈련, 실제적인 상황 속에서의 훈련 ─ 단식의 실천 : 플라톤에 있어서의 건장한 신체와 무소니우스 루푸스에 있어서의 인내력 있는 신체 ─ 시험의 실천과 그 특성들 ─ 시련으로서의 생 ─ 세네카의《신의 섭리에 관하여》: 존재의 시련과 그 식별적 기능 ─ 에픽테토스와 철학자-척후병 ─ 질병의 변모: 고대 스토아주의에서 에픽테토스로 ─ 그리스 비극에서의 시련 ─ 헬레니즘 시대 실존의 준비에 대한 무관심으로부터 불멸과 구원에 대한 기독교 교의에 대한 주목 ─ 생활의 기술과 자기 배려: 관계의 역전 ─ 이 역전의 징후: 그리스 소설에서 순결 테마 |
12주차 (3/28) | 1982년 3월 24일 강의 지난번 강의에서 획득한 바의 환기 ─ 플라톤의 《알키비아데스》와 1, 2세기 철학 텍스트에서 자기에 의한 자기 파악: 비교 연구 ─ 서구 성찰성의 주된 세 가지 형식: 상기·명상·방법 ─ 현대 서구 철학사 기술의 오류 ─ 명상의 두 계열: 진실 내용의 시험과 진실 주체의 시험 ─ 미래 투영의 그리스적인 실추: 기억의 우선성, 미래의 존재론적-윤리적 공허 ─ 준비로서의 병의 추측의 스토아주의적 수련 ─ 병의 추측 시험의 단계 ─ 미래의 폐쇄와 현실 축소로서의 질병의 추정 ─ 죽음에 대한 명상: 수직적이고 회고적인 시선 ─ 세네카와 에픽테토스에 있어서의 의식 점검 ─ 철학적 금욕 실천 ─ 생명의 기술, 자기 시험, 세계의 객관화: 서구철학의 도전 |
※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Related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