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의 시간론과 영화론



180,000원
기간 | '23.7.3-8.14(7주) |
강사 | 강선형 |
위치확인
위치확인
.
[강의] 들뢰즈의 시간론과 영화론
📑 개요
소개 |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에서의 시간론과 『시네마』에서 전개된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이행을 종합적으로 이해해보는 강의이다. 들뢰즈가 영화에 대한 사유의 출발점으로 삼았던 운동-이미지는 시간을 그 자체로 드러내기보다는 메트로놈의 운동이 표현하는 시간처럼 어디까지나 일정한 운동에 종속되어 있는 시간만을 간접적으로 재현하는 데 머물러 있었다. 들뢰즈는 현대 영화에서 이러한 운동-이미지와의 종속관계를 전복시키는 직접적인 시간-이미지가 출현하게 되는 국면을 조명한다. 그가 이렇게 말할 때 『시네마』 1권에서 전개되는 운동-이미지와 『시네마』 2권에서 전개되는 결정체-이미지, 그리고 세 가지의 직접적 시간-이미지는 『차이와 반복』에서의 시간의 세 가지 종합인 살아있는 현재의 종합, 순수과거의 종합, 전복적 근거 와해로서의 미래의 종합과 각각 조응한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 강의에서는 『차이와 반복』의 시간의 세 가지 종합과 『시네마』의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의 영화들을 겹쳐봄으로써, 그의 시간론과 영화론의 의의를 탐구해볼 것이다. |
일정 | 2023년 7월 3일 ~ 8월 14일 (7주) 매주 월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오프 동시 진행, 📼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강선형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들뢰즈 철학에서 시간의 종합과 영화」로 석사 학위를, 「들뢰즈와 칸트: 들뢰즈 철학의 형성에서 칸트 삼비판서의 역할」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제40회 영평상 신인 평론상을 받았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 「칸트와 들뢰즈에서 자아의 동일성 문제」, 「랑시에르의 시간과 영화, 그리고 정치」, 「아감벤의 잠재성과 무위」, 「영화의 사운드와 자유간접적 역량」등이 있고, 저서로 『니체, 버스킹을 하다』(2017, 탐) , 『철학극장: 철학과 영화의 마주침』(2021, 서강대학교출판부), 『자크 데리다』(2022, 컴북스캠퍼스) 등이 있으며, 현재 들뢰즈의 『시네마 1 운동-이미지』(근간, 필로버스)를 번역하고 있다. |
교재 | 강의안 + PPT ※ 참고도서 : 『차이와 반복』(민음사, 2004), 『시네마 1 운동-이미지』, 『시네마 2 시간-이미지』 |
수강료 | 일반회원 18만원 / 청년회원(35세 이하) 9만원 |
📅 세부 일정
1회차 (7/03) | 들뢰즈의 시간론 |
2회차 (7/10) | 운동-이미지 |
3회차 (7/17) | 히치콕과 정신적 이미지 |
4회차 (7/24) |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이행 |
5회차 (7/31) | 결정체-이미지 |
6회차 (8/07) | 거짓의 역량 |
7회차 (8/14) | 자유간접화법 |
.
.
[강의] 들뢰즈의 시간론과 영화론
📑 개요
소개 |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에서의 시간론과 『시네마』에서 전개된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이행을 종합적으로 이해해보는 강의이다. 들뢰즈가 영화에 대한 사유의 출발점으로 삼았던 운동-이미지는 시간을 그 자체로 드러내기보다는 메트로놈의 운동이 표현하는 시간처럼 어디까지나 일정한 운동에 종속되어 있는 시간만을 간접적으로 재현하는 데 머물러 있었다. 들뢰즈는 현대 영화에서 이러한 운동-이미지와의 종속관계를 전복시키는 직접적인 시간-이미지가 출현하게 되는 국면을 조명한다. 그가 이렇게 말할 때 『시네마』 1권에서 전개되는 운동-이미지와 『시네마』 2권에서 전개되는 결정체-이미지, 그리고 세 가지의 직접적 시간-이미지는 『차이와 반복』에서의 시간의 세 가지 종합인 살아있는 현재의 종합, 순수과거의 종합, 전복적 근거 와해로서의 미래의 종합과 각각 조응한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 강의에서는 『차이와 반복』의 시간의 세 가지 종합과 『시네마』의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의 영화들을 겹쳐봄으로써, 그의 시간론과 영화론의 의의를 탐구해볼 것이다. |
일정 | 2023년 7월 3일 ~ 8월 14일 (7주) 매주 월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 필로버스 세미나룸 + 온라인 Zoom (※ 온오프 동시 진행, 📼 녹화 영상 제공) |
강사 | 강선형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들뢰즈 철학에서 시간의 종합과 영화」로 석사 학위를, 「들뢰즈와 칸트: 들뢰즈 철학의 형성에서 칸트 삼비판서의 역할」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제40회 영평상 신인 평론상을 받았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 「칸트와 들뢰즈에서 자아의 동일성 문제」, 「랑시에르의 시간과 영화, 그리고 정치」, 「아감벤의 잠재성과 무위」, 「영화의 사운드와 자유간접적 역량」등이 있고, 저서로 『니체, 버스킹을 하다』(2017, 탐) , 『철학극장: 철학과 영화의 마주침』(2021, 서강대학교출판부), 『자크 데리다』(2022, 컴북스캠퍼스) 등이 있으며, 현재 들뢰즈의 『시네마 1 운동-이미지』(근간, 필로버스)를 번역하고 있다. |
교재 | 강의안 + PPT ※ 참고도서 : 『차이와 반복』(민음사, 2004), 『시네마 1 운동-이미지』, 『시네마 2 시간-이미지』 |
수강료 | 일반회원 18만원 / 청년회원(35세 이하) 9만원 |
📅 세부 일정
1회차 (7/03) | 들뢰즈의 시간론 |
2회차 (7/10) | 운동-이미지 |
3회차 (7/17) | 히치콕과 정신적 이미지 |
4회차 (7/24) |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이행 |
5회차 (7/31) | 결정체-이미지 |
6회차 (8/07) | 거짓의 역량 |
7회차 (8/14) | 자유간접화법 |
.
🔗 Related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