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문[안티 오이디푸스] 3장 5절

권순모
2020-04-10
조회수 494

5 영토적 표상 [안티 오이디푸스] 3장 5절 발제 박아무개 2020/4/10



◼표면에 있는 영토적 표상의 요소들

만일 표상이 욕망적 생산의 억압-탄압(a social and psychic repression)이라 해도, 그것은 해당 사회구성체에 따라 아주 다양한 방식으로 그러하다. 표상 체계의 심층에는, 억압된 대표(the repressed representative), 억압하는 표상작용 (the repressing representation), 이전된 표상내용(the displaced represented)이라는 세 요소가 있다.  표상 체계의 3요소

사회체 위의 기입은 사실 2차적인 <고유한 의미의> 억압의 담당자인데, 이 억압은 CsO(corps sans organs, 탈기관체)의 욕망적 기입과 또 이 CsO가 이미 욕망의 영역에서 행사하는 1차적 억압과 필연적 관계가 있다.

 원시 코드들은, 욕망의 흐름들을 잔혹체계에 묶어 놓으면서 최대한 조심하고 확장하여 욕망의 흐름들에 행사되는 그 순간에도 탈코드화된 흐름들을 풀어놓는 자본주의 공리계보다는 욕망기계들과 무한히 더 큰 친화력을 유지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 까닭은 욕망이 아직 덫에 빠지지 않았고, 막다른 골목들의 집합 속에 끌려 들어가지 않았고, 또 흐름들이 그 다의성을 조금도 잃지 않았기 때문이며, 또 표상 속의 단순한 표상내용이 아직 대표의 자리를 차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the simple representated in representatation has not yet taken the place of the representative).



◼부채와 교환

사회는 교환적이지 않으며, 사회체는 기입자이다. 교환하지 말고, 토지라는 신체에 표시하라. 부채의 체계는 원시 영토 사회체의 요구들에서 직접 유래한다. 이 사회체에서 욕망의 흐름을 코드화하고, 거대한 혈연 기억을 억압하는 것은 결연인데 바로 부채가 강도들의 억압 위에서 외연을 지닌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 확장 혈연들로 결연을 조성한다.

부채-결연; 선사시대 인류의 노고라 묘사(니체). 저 오랜 생명적-우주적 기억의 억압에 기초해서 말들의 기억을 강요하기 위해, 맨살에 행해지는 가장 잔혹한 기억술.

모스; “부채는 교환과 관련하여 근원적일까, 아니면 교환의 한 양식, 교환에 기여하는 하나의 수단일까?” vs.레비스토로스; 부채는, 교환의 무의식적 사회 현실이 화폐로 바뀌는 하나의 상부구조, 하나의 의식적 형식이다.부채는 보편적 교환의 간접적 수단이 아니라 원시적 등기의 직접적 결과.

 욕망은 교환을 모른다. 욕망은 도둑질과 선물(증여)만 안다. 원시 시장은 등가물의 확장보다는 에누리에 의해 진행되는데, 시장경제(교환가치)는 등가물의 확장이 흐름들의 탈코드화와 사회체 위의 기입양식의 붕괴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 교환이 금지되고 쫓겨난다는 점은 결코 교환의 1차적 현실을 증언하지 못하며, 오히려 반대로 본질적인 것은 교환하기가 아니라 기입하기, 표시하기임을 보여준다.

교환을 하나의 무의식적 현실로 만드는 것은 무의식을 하나의 빈 형식, 즉 욕망 자체가 거기에 부재하고 거기서 추방되는 빈 형식으로 환원하는 것이다. 하지만 무의식은 이미 기능하는 기계, 욕망기계이지, 거식증인 구조가 아니다.



◼교환주의적 착상의 다섯 가지 기본 전제

기계와 구조의 차이

사회체에 대한 교환주의적·구조적 착상을 암묵적으로 고무해 주는 기본전제들

⓵ 친족구조들에서는 결연들(alliances)이 혈연(filiation)의 가문들 및 이들의 관계들에서 생겨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방계결연들lateral alliances과 부채블록들blocks of debt이 외연을 지닌 체계에서 펼쳐진 혈연(확장혈연)을 조건 짓는 것이지 그 역이 아니다.

⓶ 외연을 지닌 체계를 그 본연의 모습인 물리체계가 아니라 논리적 조합으로 보는 경향. 본래 물리체계에서는 강도들이 할당되며, 이 체계의 어떤 것들은 흐름을 무화하고 봉쇄하며, 또 어떤 것들은 흐름을 지나가게 하는 등의 일을 한다.

⓷ 구조주의는 일종의 가격 평형, 원리들에 있어서의 1차적 등가성 내지 평등을 전제하는 경향.

⓸ 구조주의는 통계적으로 닫힌 폐쇄된 체계를 전제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구조를 심리적 확신으로 뒷받침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⓹ 사회적 재생산을 순환의 영역으로 환원. 사람들은 사회체 위에서 묘사되는 외견상의 객관적 운동에는 유의하지만, 이 운동을 기입하는 현실적 심급과 이 운동을 기입하는데 사용하는 정치적·경제적 힘들은 고려하지 않는다.



◼목소리, 표기행위, 눈― 잔혹극

미개 구성체들은 구술적이고 음성적이지만, 이는 그것들이 표기체계들을 결핍해서가 아니다. 춤, 그림, 신체 위의 표식은 모두 하나의 문자 체계. 이 구성체들이 구술적인 까닭은 목소리와 독립한 표기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르루아구랑; 미개의 기입 또는 영토적 표상의 이중적인 두 극, ‘목소리-듣기’와 ‘손-표기’에 대한 묘사.

구르망체족의 여자 성년식(혼인의식); 할례, 조롱박. “그는 흔적을 새기는 행위를 가만히 받아들이고 기호를 찍는 일을 감내한다. 그의 고통은 이를 지켜보는 눈에게는 즐거움이 아니겠는가----고통은 눈이 끌어내는 잉여가치와 같은 것이다.” ▶부채의 체계 또는 영토적 표상.(❝야기된 손실= 감수해야 할 고통❞) 부채는 영원한 가책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해방의 의식이자 부족간의 결연인 처벌의 축제로 승화.

“말하거나 읊조리는 목소리”, “맨살에 표시된 기호”, “고통에서 향유를 뽑아내는 눈” 공명과 보유의 영토를 형성하는 미개삼각형의 세 변이며, 이 삼각형은 “분절된 목소리”, “표기하는 손” 그리고 “평가하는 눈”이라는 삼중의 독립을 내포하는 잔혹극. 이런 식으로 영토적 표상이 표면에서 조직되는데, 이 표상은 아직도 “눈-손-목소리”라는 욕망 기계에 아주 가까이 있다. 마술 삼각형



◼니체; ❝벌에도 또한 그토록 많은 축제다운 것이 있다!❞

『도덕의 계보』(니체); 현대 민족학의 위대한 책. 원시 경제를 부채의 견지에서, 채권자-채무자의 관계에서 해석(둘째 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

 부채는 교환이 띠는 겉모습이기는커녕 영토적ㆍ육체적 기입의 즉각적 결과 내지 직접적 수단이다. 부채는 기입에서 곧바로 생겨난다.

 ‘손해=고통’이라는 방정식에는 교환주의적인 것이 전혀 없으며, 이 극단적 사례에서 부채 자체는 교환과 아무 관계가 없음을 보여준다.

 눈은 자기가 관찰하는 고통에서 코드의 잉여가치를 뽑아내며, 이 잉여가치는 죄인이 망친 결연의 목소리와 그의 신체를 충분히 관통하지 않은 표시 사이의 깨진 관계를 만회하는 것이다. 소리-표기의 연결의 파괴인 죄는 벌의 광경을 통해 재건된다. 원시적 정의正義로서, 영토성의 표상은 모든 것을 예견하였다.



◼영토 체계의 죽음; ❝대지는 하나의 정신병원이다!❞

 영토적 표상은 고통과 죽음을 코드화하면서 모든 것을 예견했다. 자기 자신의 죽음이 밖에서 자기에게 오게 될 방식만 제외하고. <그들은 운명처럼 오며, 거기에는 아무런 이유도 이성도 숙고도 구실도 없다. 그들은 번개처럼 와 있다.---그들은 가장 비자발적이고 가장 무의식적인 예술가---이 타고난 조직자들은 죄라든가 책임, 숙고를 모른다---그들에게서 “양심의 가책”이 자라난 것이 아니었다--이 추한 식물은 그들의 예술가적 폭력 아래 엄청난 양의 자유가 세계로부터 적어도 가시권에서 추방되지 않았다면, 곧 잠복적인 것이 되지 않았다면 존재하지 않았으리라.>‘금발의 맹수 무리’, ‘하나의 정복자’, ‘지배자 종족’; 국가의 창설자들.

 교회국가건 세속국가건 폭정국가건 민주국가건 자본주의 국가건 사회주의 국가건, 지금까지 오직 하나의 국가만이 있어 왔다. 즉 <입김을 뿜고 포효하며 말하는> 위선적인 개-국가만이. 그리고 니체는 이 새로운 사회체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암시한다. 그것은 모든 원시 코드화를 협의해서 파괴하며, 이것들을 조롱하며 보존하고, 이것들을 새 기계, 새 억압 장치의 2차적 부품들로 환원한다.

 원시 기입 기계의 본질을 이루고 있었던 것, 즉 이동하는 열린 유한 부채 블록들, ‘운명의 작은 조각들’, 이것들 모두는 부채를 무한한 것이 되게 하며 이제 단지 하나의 동일한 박살내는 숙명만을 형성할 뿐인 하나의 거대한 톱니바퀴 속으로 들어갈 처지이다.<이제 완전 상환의 전망은 곧 단번에 염세적으로 닫혀야만 하고, 이제 눈길은 청동의 불가능성 앞에 절망적으로 부딪혀 튕겨 나와야만 한다--->